애니홍콩자료실

[홍콩서비스산업] 무역 및 도소매업 현황

관리자님 | 2016.08.22 18:14 |

홍콩의 무역 및 도소매업 현황

 

글로벌 중계 무역 센터


홍콩 중계무역의 발전

1980년대 시작된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PRD(Pearl River Delta, 주강삼각주)지역의 산업발전에 비례하여 홍콩의 대외무역규모는 1980년 → 2014년 기간 동안 약 40배 증가 세계 8위 규모 무역국으로 성장함.

상품수출입의 중계무역(재수출) 비중은 이 기간 동안 약 30% 98.5%으로 증가하여 아시아지역의 중계무역 허브로 위상이 정립됨


홍콩의 무역 규모 (HK$ billion)

년도

수출

수입

합계

상품

서비스

소계

상품

서비스

소계

1980

98

29

128

108

20

128

256

1990

640

143

783

630

102

732

1,515

2000

1,579

317

1,896

1,643

194

1,837

3,733

2010

3,031

626

3,657

3,365

547

3,912

7,569

2014

3,673

822

4,495

4,219

588

4,806

9,302

자료: 홍콩통계청

▶   중국의 개혁개방으로 홍콩기업 소유의 제조업이 PDR 지역으로 이전하여 『前店後廠』 (홍콩은 판매, 대륙은 제조)’ 개념의 산업구조가 자리 잡으면서, 홍콩의 기업들은 제품조달(원자재, 기계, 부품 등), 주문, 품질관리, 배송 및 판매 등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 및 부가가치 창출하며 무역, 유통 및 물류영역의 서비스산업 기반을 구축함.

▶   무역업은 홍콩정부의 4대 전략산업(무역/물류, 금융, 관광, 전문직)의 핵심산업.

무역업의 부가가치 규모 GDP 비중이 19.7%(2013년 기준)을 차지하며 서비스산업의 기초 → 금융, 회계 및 법률 등 전문직 서비스로 동반성장 및 아시아 허브로 발전,


글로벌 무역센터 경쟁력 원천

√ž  높은 지리적 접근성, 문화적 복합성(동서양 문화 융합발전), 중국과의 인접성 등이 홍콩 무역업 및 도소매업 발전의 기반

√ž  무관세 정책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 비과세 정책은 유통기업의 제품조달 및 판매 등 경영활동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

√ž  낮은 법인소득세(16.5%)와 배당/이자소득 등의 비과세 제도는 글로벌 유통기업을 포함한 홍콩의 모든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조건 제공

√ž  대규모 중국 관광객은 홍콩이 아시아 지역의 유통 허브로서 자리잡고 홍콩이 중국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

√ž  일국양제 하에서 독립된 사법부와 법의 지배(rule of law) 원칙을 확립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신뢰 받는 정치 및 법률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춤.


홍콩 무역 산업 특징

무역산업의 홍콩경제 기여도

구 분

2004

2010

2013

2014

무역산업 회사 ()

95,305

100,405

101,801

102,650

무역산업 종사자 ()

497,651

499,537

491,708

492,117

인구대비 종사자 비율 (%)

7.3

7.1

6.8

6.8

부가가치 창출 (HK$ Million)

274,545

341,615

413,445

n.a

부가가치 GDP 기여도(%)

21.4

19.7

19.7

n.a

자료: 홍콩통계청

√ž  홍콩의 무역산업은 2004 - 2014년 기간 거래금액기준 외형이 약 2배 성장했으나, 무역에 종사하는 회사 및 종사자는 큰 변화가 없으며, 기계류, 중간재 및 원료 등 거래단가가 높은 제품의 거래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됨.

√ž  홍콩의 사무실 임대료 및 운영비용 급등으로, 홍콩인접 중국본토에서 무역실무를 담당하는 인원을 보완하는 것으로 유추됨 (역외무역 규모의 지속상승)

(부동산서비스업체 CBRE가 전세계 127개 고급 사무실 시장의 임대료를 조사한 결과 런던 웨스트엔드에 이어 홍콩 센트럴 지역의 임대료가 두 번째로 비쌌다. 평방 피트당 연간 임대료는 U$254.23였고, 3위와 4위는 중국 베이징의 금융가(U$195.82)와 중앙사업지구(U$187.54)가 각각 차지)

√ž  소규모 무역회사들은 특정 분야에 특화되어 외국 브랜드의 에이전트나 디스트리뷰터 역할을 하며 원료, 특수부품 및 소형특수 기기 등 중국시장에 해외제품을 소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온라인 상거래가 발달함에 따라 창의적인 아이디어 상품을 소싱 양방향으로(해외→중국시장, 중국→해외시장) 온라인거래를 하고, 홍콩은 결제 등의 관리목적의 페이퍼 컴퍼니로 운영하는 방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ž  중대형 무역회사들은 중국 PRD 지역 등 생산지로부터 제품을 조달하지만, 특정 제품군에 한정하지 않고 지역별 및 |글로벌 공급 및 판매 네트워크 보유

이들 회사는 단순히 무역에 그치지 않고, 생산 공장을 직접 운영하거나, 또는 원자재 및 신용장 개설 등 자금 지원 및 품질관리 등을 통해 제품 소싱, 또는 디자인 또는 부품을 제공하는 방법 등 부가가치를 창출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유지.  


홍콩의 무역산업 현황 - 무역 형태별 거래 규모(HK$ million)

구 분

2004

2010

2014

제품수입

2,111,123

3,364,840

4,219,046

제품수출 합계

2,019,114

3,031,019

3,672,751

재수출

1,893,132

2,961,507

3,617,468

국내제품 수출

125,982

69,512

55,283

국내 무역 합계

4,839,447

7,568,508

9,301,799

역외 무역

1,317,002

2,470,813

4,406,639

자료: 홍콩통계청

√ž  제품수입은 재수출을 위한 홍콩으로 수입된 상품을 포함 (글로벌 시장 ↔ 중국본토),

√ž  제품수출의 국내제품은 홍콩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홍콩의 제조업기반 위축으로 수출비중은 상기 기간 동안 6.2% 1.5%으로 축소됨

√ž  재수출은 글로벌 시장, 중국본토 및 인접 아시아 지역에서 소싱 한 제품을 홍콩을 경유 재수출 하는 경우를 말하며 제품수출의 98.5%를 차지함(2014년 기준)

√ž  국내무역합계는 홍콩을 경유한 수입 및 수출의 합계를 나타내며, 무역업전체 규모는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홍콩을 경유하는 무역규모도 꾸준히 증가. (연평균 성장률 약 3.5% (2012-2014년 기간)

√ž  역외무역은 제품을 홍콩을 경유하지 않고 대금결제만 홍콩에서 진행되는 거래의 형태이며, 상기 기간 동안 역외에서 진행된 무역의 규모의 국내무역규모 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국내무역규모의 44.8 62.8% 증가함. (연평균 역외무역 규모 성장률 약 5.0% 이상(2012-2014년 기간)

√ž  중국본토의 주요도시의 직접 무역규모가 증가하면서 홍콩의 역할이 다소 위축되고 있으나, 홍콩을 경유하는 중계무역성장률이 감소추세이지만, 역외 중계무역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중계무역의 허브로서 핵심적인 역할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홍콩의 무역산업에서 중국본토 의존도

수입-수출비율 (%)

2004

2010

2014

중국본토로부터 제품수입

72.0

49.8

38.0

홍콩제품 중국본토 수출

65.7

18.6

15.5

중국본토로 재수출

42.5

32.8

29.5

중국본토 제품을 재수출

79.3

72.9

71.5

자료: 홍콩통계청

√ž  중국본토로부터 제품수입비율 및 중국본토로 재수출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중국본토 주요 도시의 직접 수입 및 수출이 늘어나는 것을 나타내며 홍콩의 경쟁력 약화를 나타내고 있음

√ž  홍콩제품의 중국본토 수출이 급감하는 것은 홍콩의 제조업 쇠퇴를 반영하며, 중국본토로부터 제품수입이 감소하는 비율 및 홍콩의 역외무역이 증가하는 것을 종합할 때, 홍콩기업들의 중국PRD지역에서 생산한 제품들이 중국내수시장으로 판매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유추 할 수 있다.

√ž  중국본토 제품 재수출비율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PRD지역에 투자한 홍콩기업의 제품은 여전히 홍콩을 경유하여 수출무역이 관리되고 있음으로 유추할 수 있음,


홍콩 도소매업 특징

도소매업의 홍콩경제 기여도

도매업 현황

구 분

2004

2010

2013

2014

도매업 관련 회사 ()

15,059

14,944

14,540

14,202

도매업 종사자 ()

68,308

64,223

62,494

62,290

인구대비 종사자 비율 (%)

1.0

0.9

0.9

0.9

총생산 (HK$, million)

21,602

27,097

33,989

n.a

부가가치 창출 (HK$ million)

12,343

15,443

19,137

n.a

부가가치 GDP 기여도 (%)

1.0

0.9

0.9

n.a

영업수익지수 (2008=100)

-

109.2

132.4

134.4

소매업 현황

구 분

2004

2010

2013

2014

소매업 관련 회사 ()

54,072

60,574

65,081

65,862

소매업 종사자 ()

214,005

243,101

264,982

270,817

인구대비 종사자 비율 (%)

3.1%

3.4%

3.7%

3.7%

총생산 (HK$, million)

n.a

324,966

494,451

493,236

부가가치 창출 (HK$ million)

33,940

56,250

91,065

n.a

부가가치 GDP 기여도 (%)

2.6

3.2

4.3

n.a

영업수익지수 (2010=100)

-

104.7

159.3

158.9

                    자료: 홍콩통계청

홍콩 도소매업 입지

√ž  도소매업은 GDP기여도가 5.2%에 해당하지만, 사업체 수 및 고용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ž  최근 중국 관광객의 급속한 증가로 소매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07 2,470HK$ (2007) 4,944(2013) HK$로 연평균 12.3% 증가.

√ž  홍콩의 소매업은 2013년 기준으로 보석, 시계 2013년 및 고가 선물용품이 2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의류 및 신발(13%), 슈퍼마켓(10%), 백화점(10%) 등으로 이어짐

√ž  도소매업의 장애요인 부동산 임대료

홍콩의 중심 상업지역의 임대비용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평가

Causeway Bay의 임대료는 2012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지역이던 미국 뉴욕 5번가를 추월한 이후 현재까지 세계 최고 수준을 지속, 홍콩의 중심 상업지역의 임대료는 2013 4분기 기준으로 평방피트 당 연간 4,333 US$인데, 뉴욕보다 30% 정도 더 높은 수준 (다만, 최근 들어 임대료가 소폭 하락하는 경향은 있음)


홍콩관광객 증가 → 글로벌 유통브랜드 허브로 발전

√ž  2013/2014년 홍콩관광객 54.3/60.8백만 명 중, 중국관광객 40.8/47.3백만 명 (75.1%/77.8%). 최소 1회 이상 쇼핑, 1인당 평균 U$1,100 소비

√ž  글로벌 유명브랜드 보유한 유통업체 다수 진출 진출업체 순위 전세계6, 신규진출 전세계 3, 홍콩을 중국 쇼핑객에게 제품을 소개하는 전시장으로 활용 (쇼핑객이 귀국 후 제품 소개하여 브랜드 인지도 형성 및 홍보 효과)


자료의 출처 : HKTDC

[참조] 애니홍콩블로그 링크 <홍콩산업 구조변화와 서비스산업의 발전>




twitt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