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새로운 성장 동력
지식기반 경제 – 6개 산업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홍콩정부는 경제위기TF팀(The Task Force on Economic Challenge)을 구성하여, 금융위기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 경제발전의 새로운 분야를 조사하였고, 4대 핵심 서비스산업이 그 동안 홍콩경제 성장의 주축이었지만, 경제가 너무 편중되고 발전의 한계가 있으며 외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지적하고, 산업구조를 다양화하여 홍콩경제가 혜택을 볼 수 있는 6개 서비스 산업을 제안하고, 2009년부터 정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6-산업 지원정책이 적극 추진되기 시작했다.
6개-산업 현주소
▶ 6-산업 분야 구분
√ 문화 및 창조 산업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의료서비스 (Medical Services)
√ 교육서비스 (Education Services)
√ 혁신 및 기술 (Innovation and Technology)
√ 환경산업 (Environmental Industries)
√ 시험 및 인증서비스 (Testing and Certification Services)
6-산업의 홍콩경제 기여도 (2008-2012년) <2013년은 GDP의 9.1%를 차지>.
구 분
GDP 비율(%)
고용 현황 (2012년 기준)
2008년
2012년
고용인수(명)
고용비율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3.9%
4.9%
200,370
5.5%
Medical services
1.3%
1.5%
78,970
2.2%
Education services
1.0%
1.1%
73,110
2.0%
Innovation and technology
0.6%
0.7%
39,520
1.1%
Environmental industries
0.3%
0.3%
30,240
0.8%
Testing and certification services
0.3%
0.3%
12,780
0.3%
소 계
7.4%
8.8%
434,990
11.9%
자료 : 홍콩통계청 및 HKTDC
√ 6-산업분야의 세부적인 통계자료는 매년 발표되지 않고 연구자료로 주기적으로 분석 및 발표되며 2012년 자료가 최신 자료임
√ 2013년은 6-산업분야 전체의 홍콩경제 기여도는 부가가치창출 기준 GDP 의 9.1%를 차지
√ <문화 및 창조>산업이 GDP기여도나 고용효과가 증가했고 나머지 5개 분야는 아직 효과가 미미한 상황임.
√ 홍콩정부는 6-산업에 대한 정책 시행을 위해 세부계획 수립 및 인프라 구축작업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2016년 이후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문화 및 창조 산업(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주요 대상분야
√ 광고 (advertising), 영화, 비디오, 음악 (film, video and music) 및 TV and radio.
√ 소프트웨어, 컴퓨터 게임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software, computer games and interactive media), 오락서비스 (amusement services)
√ 건축 (architecture) 디자인 (design) 출판 (publishing)
√ 미술, 골동품, 공예 (art, antiques and crafts;) 공영(행위)예술 (performing arts)
√ 문화 교육 및 도서관, 기록보관, 박물과 서비스 (cultural education and library, archive and museum services;)
▶ 현황 및 주요 활동
√ 약 32,000개의 관련 기관 및 약 188,000 전문가를 갖추고 있음
√ 정책추진 주요 기관
홍콩예술발전 위원회(HK Arts Development Council): 문학, 공연(실행) 및 시각예술, 영화 및 미디어예술을 포함한 예술의 광범위한 개발을 계획, 촉진 및 지원
CreateHK : 산업계에 원-스톱 Sh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창조산업의 개발을 추진하기 위하여 7개 분야의 전략을 수행 – 인재훈련, 창업지원, 로컬시장개발, 해외 및 본토 시장확대, 창조 클러스터 조성, 창조 분위기 강화, 메가 이벤트 개발지원 등
InnoCentre : 디자인 인큐베이터, 창업, 사무공간 제공, 교육 및 전문가 양성
√ 인프라 건설
PMQ : 창조산업의 렌드마크(2014년 완공) – 창조사업 관련 전시회, 각종이벤트 진행 중
West Kowloon Culture District : 복합 문화 및 예술 센터, 2015년 일부 오픈, 단계적으로 지속 개발
√ 자금 지원
Create Smart Initiatives (CSI) : HK$300mil, 창조산업 개발지원
Film Development Fund (FDF) : HK$320mil, 영화산업 개발지원
창조산업 일반지원 예산: HK$486mil, 공공예술 홍보, 예술행정 지원, 예술 및 문화 활동 등
Arts and Sport Development Fund : HK$1,500mil(예술부문) 투자회수금은 장기개발자금으로 전환 ,
혁신 및 기술 (Innovation and Technology)
▶ 주요 대상분야
√ 혁신적인 기술을 가지고 홍콩을 기반으로 중국, 아시아 또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술력 있는 기업가 또는 중소기업(기존, 신생 또는 벤처기업 포함)
√ Science & Technology Parks : 전자, 정보통신, 정밀기계, 생명공학 및 친환경 기술
√ InnoCentre : 제품 디자인, 패션 및 보석/장신구, 인테리어 디자인, 상표 및 포장재, 비쥬얼 및 미디어 아트
√ The Cyberport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회사, ICT 전문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및 디지털 콘텐츠 창작
▶ 현황 및 주요 활동
√ Science & Technology Parks
2014년 기준, 340개 이상의 기업이 활동 중, 누적 320개 기술창업 및 95개 디자인창업 지원 실적
Phase 3 지원 자금조성 : HK$ 4,900mil, 150개 이상 회사에 제공 예정
√ Cyberport
100여 개 정보통신 및 디지털콘텐츠회사 활동 중.
√ Five R&D Centres
Innovation and Technology Fund (ITF) HK$ 5,000mil 조성, 제조업 및 서비스산업(정보통신 분야 등) 지원 연구활동 진행 중.
500여 연구 인력, 2000년 설립 이후 100여 개 특허취득, 및 300개 이상 기술 이전.
시험 및 인증 서비스 (Testing and Certification Services)
▶ 주요 대상분야
√ 기술적인 테스트 및 분석 (technical testing and analysis)
√ 화물 품질검사 (cargo inspection), 샘플검사 및 중량검사 (sampling and weighting)
√ 의료 및 X-ray (medical and X‐ray laboratories)
√ 200개 이상의 인가된 시험연구소, 검사 및 인증 단체로 구성. 글로벌 표준을 유지하며 제품의 품질 및 안전을 확실히 보장, 국제무역 허브로서 홍콩의 입지를 지원.
▶ 현황 및 주요 활동
√ 2009년에 시험 및 인증협회가 설립되었고, 이 산업이 성장하도록 전반적인 전략을 정부에 자문해 준다
√ 60개 이상의 경제 단위에서 75개 이상의 인증단체가 활동 중
√ 중국본토에서 요구하는 필수 인증항목(CCC, China Compulsory Certificate) 중 일부를 홍콩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제도 진행 중.
√ 홍콩 및 중국본토에서 이미 활동중인 국제적인 브랜드와 경쟁이 치열하여 이 분야 산업발전에 어려움 예상
교육서비스 (Education Services)
▶ 주요 대상분야
√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k(영리 및 비영리) (kindergartens; privat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both profit and non‐profit making)
√ 사립 전문대학 또는 종합대학(외국학생 전용 포함) (self‐financed postsecondary and other university courses (including university courses for non‐local students))
√ 교습학교, 비즈니스협회에 대한 교육훈련, 서비스 관련된 사립교육 (Tutorial schools; training provided to business firms; and other private education related services
√ 지역의 교육허브로 위상을 강화하고, 홍콩을 우수한 교육장소로 돋보이게 하는 세가지 기본적인 강점(문화의 다양성, 기회 및 국제표준)을 레버리지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현황 및 주요 활동
√ 국제화를 위한 정책지원
해외학생을 위한 고등교육 배정을 10% -> 20% 두 배
이민 및 고용제한 완화 : 졸업 후 고용 및 인턴쉽을 위해 1년 동안 제한 없이 체류 가능
교환학생 프로그램 강화 – 3,000명/년
박사과정 장려 프로그램. 선택된 학생에게 급여 및 연구비
√ 인프라 및 자금 지원
학교 및 연구기관 부지 제공 : 2곳의 녹지부지(4,500명 수용 예상), Fanling 지역부지 (8,000명 예상) , 4곳의 미-개발지(약 5,000명예상), Lok Ma Chau 교육기관 및 연구개발단지(30 hectares) 등 운영자가 자체-자금조달 프로그램 제공
교육펀드 조성: HK$2,500mil 장학금 및 교육품질강화 (고등교육)
√ 외국학생을 위한 홍콩교육의 매력
홍콩의 대학들은 아시아에서 최고순위 기록, 그 중 세 곳은 아시아 Top 5 및 세계50위 이내.
48개 국제학교, 10개 이상 커리큘럼 1,200개 비-로컬 교육 코스 제공,
아시아 최고의 비즈니스 관리프로그램, 자유로운 2~3개 언어환경, 국제적으로 인식된 높은 등급의 인증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기반
의료서비스(Medical Services)
▶ 주요 대상분야
√ 개인병원, 클리닉, 의료 및 치과 전문가(services provided by private hospitals, clinics, medical and dental practitioners)
√ 간호사, 양로 및 장애인 시설 (nursing and residential care for the elderly and persons with substance abuse and disabilities)
√ 의료용품 판매 (retail sales of medical products) 및 의료보험 (medical insurance)
√ 훌륭한 개인병원, 클리닉 및 고도로 숙련된 의학 및 치과 전문가 및 의학연구소를 갖춘 홍콩은, 홍콩을 세계적 수준의 의료서비스 센터로 확고히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 현황 및 주요 활동
√ 4곳의 개인병원 건설을 위해 새로운 부지 제공 (2012년)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00개의 중국한약을 표준화
√ 중의학과 서양의학이 공유된 보건서비스 모델을 테스트.
√ 홍콩대학은 임상, 임상 전 및 건강관련 과목에서 아시아 대학 중 최고, 전세계 22위 차지.
√ 공중건강연구서비스는 SARS, H5N1, 홍역에 대한 WHO의 검증 및 표준연구소, 결핵에 대한 초국가적인 표준연구소
√ 홍콩의 연구원들은 고급의학연구의 많은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 성인간 간이식, 비외과적 태아진단, 백혈병 등
√ 의료산업은 인력부족에 직면해 있으며, 장기적인 해결 과제.
환경산업 (Environmental Industries)
▶ 주요 대상분야
√ 하수 및 폐기물 처리 (sewerage and waste management;)
√ 환경 엔지니어링 및 컨설팅 서비스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consultancy services)
√ 폐기물 및 스크랩 수출입 무역 (import/export and wholesale trading of waste and scrap)
▶ 현황 및 주요 활동
√ Green Procurement Policy : 정부조달 물품에 환경보호와 관련된 품목리스트 작성 – 100개 항목까지 확대
√ Green Buildings : 건물 에너지효율 조례시행(2010)에 따라 에너지표준 적용(신규건축, 재건축 및 리모델링에 적용), 상업용 건물 에너지감사 의무(Energy Auditing, 10년 주기)
√ Green Transport : 전기자동차 등록세 면제, Green Transfer 펀드(HK$300mil, 저-탄소 운송기술 테스트)
√ 홍콩기반 회사는 중국본토에 외상독자기업 설립허가, 약 90개 로컬 환경기술회사-PRD지역 공장에 청정생산 기술 적용,
√ HK Science Park : 태양에너지 R&D 지원센터 설립, 에서 태양에너지 및 관련기술을 개발 지원
√ 주요 문제점 : 환경서비스 시장 협소 및 R&D 활동 열악.
【참고】애니홍콩 블로그 링크
1. 홍콩 산업구조 변화와 서비스 산업의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