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홍콩자료실

[홍콩서비스산업] 홍콩 4대 전략 서비스 산업 현황 - 2014년기준

관리자님 | 2016.08.21 00:28 |

홍콩 4대 전략 서비스산업 현황


개     요


홍콩은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 광동성 주강삼각주(PRD, Pearl River Delta)에 인접하여 위치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된 1980 ~ 2000년 사이, 홍콩경제의 기반이었던 노동집약적 제조업이 값싼 노동력과 토지가 제공되는 PRD 지역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홍콩의 제조업 경쟁력은 약화되고, 대신 PRD 지역에 진출한 제조업체의 기업활동과 연계한 서비스 산업이 민간 주도로 급속히 발전하게 된다.

또한, 홍콩은 1997년 영국 식민지 통치가 종식되고 중국으로 반환되는 역사적 과정을 거치며,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독립적인 홍콩특별행정자치구(HKSAR)의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여, 홍콩의 경쟁력을 재고하고 정부주도 4대 전략 서비스산업 육성정책을 적극 추진을 한 결과. 2012년 홍콩의 서비스 산업은 GDP의 부가가치 기준 58% 이상을 차지하며 홍콩경제의 기반을 이루데 된다.

이러한 홍콩정부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산업 육성정책은 현재도 계속 진행형이며,

특히, 2004년부터 시행된 홍콩↔중국 정부간의 경제협력동반자협정(CEPA,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일종의 자유무역)을 체결한 이후, 중국정부의 홍콩기업에 대한 서비스산업 시장개방의 폭을 매년 늘려나가고 있으며, 이런 환경이 홍콩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전략 서비스산업 현황

전략 산업 추진효과 - GDP 대비 부가가치 창출

▶ 2002 - 2012년 기간, 4대 전략사업은 홍콩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으로 꾸준히 성장

     부가가치 규모 1.8배 성장 : 무역 및 물류(1.6), 금융(2.1), 전문직(1.9) 관광(2.6)

     GDP 에서 4대 전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50.8% 58%로 성장

 2008년은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로 인해 금융 및 관광산업에 영향이 있었으나,

     금융산업은 2008년 이전수준으로 회복

     관광산업은 중국본토 관광객 급증으로 2007년 대비 2배 가까이 성장함.  

HK$ million

구 분

2002

2007

2008

2011

2012

무역 및 물류

311,300

408,900

414,700

485,400

495,400

(24.9)

(25.5)

(25.6)

(25.5)

(24.6)

금융

154,100

322,600

277,100

305,300

319,300

(12.3)

(20.1)

(17.1)

(16.1)

(15.9)

전문직

133,600

181,800

197,600

235,900

257,600

(10.7)

(11.3)

(12.2)

(12.4)

(12.8)

관광

35,800

54,000

44,700

86,200

94,600

(2.9)

(3.4)

(2.8)

(4.5)

(4.7)

4대 전략산업 합계

634,800

967,400

934,100

1,112,800

1,166,800

(50.8)

(60.3)

(57.7)

(58.5)

(58.0)

Note

1. 괄호 안은 전체 GDP 대비 각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

2. 자료출처 홍콩 통계청 (2014년 발행, 2015 6월 현재 2012년까지 기록이 최신 자료 임 )

글로벌 무역│도소매│물류센터

▶ 홍콩의 제조업은 중국 광동성의 PRD지역으로 이전, 홍콩은 무역(제품 sourcing, 주문, 품질관리, 판매 등) 및 물류 등의 영역에서 부가가치를 창출 『前店後廠』 (홍콩은 판매, 대륙은 제조)

▶ 홍콩 무역업의 GDP 비중은 20.4%, 도소매업은 5% → 홍콩 서비스산업의 기반 (사업체수 기준: 51%, 고용: 30.3%)

글로벌 유통브랜드의 허브 → 관광객이 연간 6,000만명(2014년 기준)을 넘어, 글로벌 유통업체들은 특히 중국 쇼핑객들에게 제품을 소개하는 전시장(shop window)으로 홍콩을 활용

 물류성과지수(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세계은행)에서 2014 15위를 차지

 공항, 항만은 세계적인 규모로 조성되어 간단한 통관절차와 더불어 편리한 인프라시설은 수출입을 용이하게 함

홍콩 공항은 세계 1, 항만은 세계 4위의 화물처리실적을 보이면서 고부가가치 상품 중심의 물류 허브를 추구 (10시간 이내에 모든 컨테이너 하역을 마무리하는 등 효율적인 항만 서비스 제공

글로벌 금융센터

 글로벌 기업과 금융기관은 홍콩 플랫폼을 활용하여 미국 및 유럽 등 글로벌 자금조달중국 및 아시아에 투자하는 국제금융중개(international financial intermediation) 기능 수행  

▶ 2014 5월말 현재 202개 은행이 홍콩에서 은행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계 100대 은행 중 70개 은행이 홍콩에 진출

▶ 홍콩 주식시장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6, 아시아 2

2014년 홍콩주식시장 → 시가총액( 25.1 HK$) 상장사(1,752) 일 거래량( 1.39HK$)규모

2014년에는 122개 업체 IPO, 2,325HK$ 자금조달(2013년 대비 38%증가)

▶ 아시아는 세계에서 부()가 가장 빠른 속도로 축적되는 지역→ 글로벌 자산운용(Fund Management) 센터 지위 확립

▶ 홍콩은 세계 최고의 역외 위안화 거래 허브로서 전 세계 기업 등에 위안화 무역결제, 파이낸싱 및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형성 (2014 10월 현재 홍콩 내 위안화 예금은 9,436억 위안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대규모 위안화 유동성을 제공)

▶ 글로벌 기업과 자금의 대중국 투자의 관문(글로벌 투자자 → 홍콩중국)이면서 중국 기업들의 해외진출 발판(중국 기업홍콩 → 글로벌시장)

▶ 홍콩외환시장은 외환거래가 세계 제5위 규모의 활발한 시장 

아시아 관광센터

▶ 세계경제포럼의 홍콩 관광산업에 대한 평가 : 정책·규제(3), 안전(3), 육상수송기반시설(1), 친밀감(3) 등 높게 평가. 반면, 환경지속성(118), 천연자원(84)은 약점으로 평가

▶ 2012년 홍콩의 관광산업은 인바운드(해외홍콩)관광과 아웃바운드(홍콩해외)관광을 합쳐 홍콩 전체 GDP 4.7%의 부가가치를 창출

▶ 홍콩의 높은 지리적 접근성으로 다양한 국가의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중국 본토 방문객 비중이 가장 높음

     2013/2014년 홍콩 전체관광객 54.3/60.8백만 명, 중국관광객은 40.8/47.3백만 명 (75.1%/77.8%)

     2003-2013년 기간 방문관광객 수는 전체 평균 3,5배 증가, 중국본토 관광객은 4.8배 증가

▶ 천연 관광자원이 부족한 홍콩은 비즈니스와 연계한 관광산업 육성 및 쇼핑위주 관광을 탈피하기 위해 다양한 적극적인 정부 지원정책 추진 중

     인프라 확장 및 건설 : 문화예술복합단지, 18개 권역 별 관광명소 정비 및 개발, 홍콩-마카오-주하이 대교건설, 홍콩-심천-광주 고속전철, 3활주로 건설 및 제2터미널 확장 등

     다양한 관광상품 프로모션 지원 : MICE산업 전담부서 설립 및 펀드조성, Wine & Dine Festival, 중국 전통문화축제 및 동서양 문화축재 등

     제도적 지원,: 관광서비스 품질인증제도 시행, 비지제도 개선, 면제제도(관세, 부과세 면세정책), 세금감면(호텔, 숙박업)  

※ 마이스(MICE) 산업은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trip), 컨밴션(convention), 전시(exhibition)를 융합한 새로운 산업을 말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회의 자체를 뜻하는 컨벤션이 회의│인센티브 관광│각종 전시│박람회 등 복합적인 산업의 의미로 해석되면서 생겨난 개념이다. 줄여서는 비즈니스 관광(BT)이라고도 하며 일반 관광산업과 다르게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관광산업보다 그 부가가치가 훨씬 높다.

아시아의 전문직 서비스센터

▶ 고부가가치 무역│금융서비스 등은 정교한 법무│회계│IT 서비스 등 전문직 서비스업의 지원필수

▶ 무역│금융서비스↔법무│회계│IT│마케팅 등 전문직 서비스간의 밀접한 선순환 구조 정착 (대규모 신디케이트론, IPO 및 인수합병 등 중국 본토 시장에 대해 금융서비스와 법무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면서 고부가가치 서비스 창출)

▶ 법무│회계 서비스 허브로서, 공정하고 중립적인 법적│제도적 플랫폼에 기인한 홍콩의 경쟁력 확립 (국제적 대형 법무법인 및 Big 4 등 회계법인이 시장을 주도. 또한, 홍콩은 아시아 지역에서 국제중재 및 조정 관련 분쟁 해결을 위한 최적의 장소로 선호)

▶ 광고, 브랜드·이미지 컨설팅, 이벤트 기획, 기업 PR 등 마케팅 서비스도 홍콩의 시장과 중국시장 접근을 기반으로 성장 (CEPA를 통해 홍콩 광고회사는 중국 본토에 100% 독자 법인 설립 가능)

▶ 아시아 최고 수준의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무역, 도소매, 물류, 금융 지원을 위한 관련 정보통신(IT) 서비스도 함께 발전

▶ 고용효과 : 홍콩은 현재 완전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제조업과 무역업을 제외한 서비스 전 업종에 걸쳐 고용증가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 중계무역허브 : 홍콩은 2013년 기준, 세계무역 점유율(상품 및 서비스 수출) 3.1%로 세계무역기구(WTO)회원국 중 8(한국 9) 유지. 홍콩의 상품수출은 홍콩에서 생산된 제품 수출 및 수입제품의 재수출(Re-Export)로 구분되며, 홍콩을 경유하는 재수출비중이 98%상회.

▶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 2013년의 외국인 직접투자금액은 U$770억불로 전 세계 4, 2012년 말 기준 누적 직접투자액은 1 2,370 U$ GDP 4.7, 유입된 해외자본 대부분은 서비스산업에 투자되고 있으며, 외국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지역으로 주목 받고 있다.

홍콩 서비스산업 발전 원동력

▶ 중국과 서구를 이어 주는 국제무역과 물류 거점에서 출발하여, 금융법률회계 서비스 및 전문직 서비스 등으로 외형이 확대되고 고부가가치화 되는 단계로 나아 가면서 성장

▶ 홍콩 내 <관광호텔업 ↔ 컨벤션 산업> <무역업 ↔ 물류업> <금융업 ↔ 법률 서비스> 등 주요 서비스산업 상호연계가 깊고 서로가 거래의 상대방이 되는 등, 시너지 효과가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  

▶ 무역과 금융으로 대표되는 민간 서비스산업 못지 않게, 홍콩의 공공 서비스도 효율적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시장경제, 낮고 간결한 세제, 합리적인 법의 지배 등 적극적 불개입주의(positive non-interventionism)로 표현되는 홍콩 정부의 확고하고 일관된 정책스탠스도 서비스산업 발전에 기여

▶ 홍콩 서비스산업의 고도화는 중국 경제의 개방│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인력과 자금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반 성장발전해 나가는 동력(China story)을 확보

▶ 홍콩은 글로벌자본 → 중국 및 아시아에 투자하는 전초기지이자, 최근에는 중국자본 → 해외로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다국적 기업과 글로벌 금융회사로펌 등이 홍콩에 모여 들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 제공자로서의 위상을 확립

▶ 고용측면에서도 서비스산업만으로 사실상 완전고용을 실현하는 등 홍콩의 장점과 잠재력을 모두 가동하면서 성장

▶ 법률회계뿐만 아니라 컨설팅, 디자인, 마케팅, MICE 등과 같은 새로운 전문직 서비스업종의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주력

▶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우수한 인적 자원을 양성하고, 과감하게 해외인재를 유치하는 한편, 유연한 노동시장 제도를 운용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을 뒷받침

▶ 홍콩에 주재하는 외국 기업에 대한 공평하고 동등한 대우와 개방적 태도도 해외자본과 우수 기업들이 홍콩으로 유입되는 촉매제로 작용

▶ 홍콩은 작지만 응집력을 갖춘 도시(compact city)로서 각 산업은 서로 가깝게 모여 있으면서 고객들에게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

홍콩의 성취는 일거에 달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실현 가능한 방향(direction)으로, 적정한 속도(speed)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발전 단계(sequence)를 거친 결과로 분석


자료출처 : HKTDC

[참고] 애니홍콩블로그 링크 <홍콩 산업구조변화와 서비스산업 발전>

 






twitter facebook google+